미국 세무보고 (개인, 사업체) 에 대한 내용

주식 거래에서 "Wash Sale" 이란?

미국 LA 생활 2025. 4. 6. 12:44
반응형

 

"Wash sale"은 미국 세법(IRS 규정)에서 중요한 개념으로, 세금 손실을 인위적으로 만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입니다.  아래에 개념, 작동 방식, 예시, 예외 등을 포함해서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.


 

✅ Wash Sale의 정의

 

**Wash Sale(워시 세일)**이란:

  • 납세자가 손실을 보기 위해 주식을 팔았다가, 30일 이내에 같은 주식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식을 다시 사는 경우를 말합니다.
  • 이 경우, 세금 목적상 손실로 인정되지 않습니다.
    • 즉, 세금 보고 시 그 손실을 자본 손실로 공제받을 수 없습니다.

 


 

🔁 Wash Sale 규칙의 작동 방식

 

IRS는 납세자가 손실을 공제받기 위해 주식을 팔고 바로 다시 사는 방식으로 세금을 회피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규칙을 두었습니다.

조건:

  1. 손실이 발생한 주식 또는 증권을 매도
  2. 매도일 전후 30일 이내
  3. 같은 주식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식을 매입

이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면 Wash Sale로 간주되고, 그 손실은 그 시점에서 공제할 수 없습니다.

 


 

🧮 Wash Sale의 회계 처리

 

Wash Sale로 인해 발생한 손실은 단순히 "없어지는" 것이 아니라:

  • 해당 손실 금액이 새로 매수한 주식의 원가(basis)에 더해짐
  • 따라서, 나중에 주식을 매도할 때 손익에 반영됩니다.

 

🔹 예시:

  • 10주를 $100에 샀다가 $70에 팔아서 $300 손실 발생
  • 25일 후 같은 주식 10주를 다시 $75에 매입
  • 이 손실 $300은 Wash Sale로 간주되어 즉시 공제 불가
  • 새로운 주식의 cost basis = $75 × 10 + $300 = $1,050 → 단가 $105
  • 나중에 팔 때 이 basis를 기준으로 손익 계산

 


👥 적용 대상

 

  • 개인 투자자
  • IRA(Individual Retirement Account) 계좌로 거래하는 경우도 적용 가능
  • 본인 외에도 배우자이나 자녀 계좌로 다시 사는 경우도 Wash Sale이 될 수 있음

 


 

🚫 Wash Sale이 아닌 경우

 

  • 매도 후 31일 이상 기다린 후에 재매입한 경우
  • 완전히 다른 종류의 주식이나 ETF를 매입한 경우
  • 손실이 아닌 이익이 발생한 경우 (Wash Sale은 손실일 때만 해당)

 


 

📌 전략적 고려사항

 

  • 세금 손실 수확(tax-loss harvesting)을 할 때 주의 필요
  • 같은 섹터의 다른 ETF 또는 유사 종목으로 리밸런싱하여 Wash Sale을 피할 수 있음
  • 🔹 예: SPY (S&P 500 ETF) 매도 후, VOO (다른 S&P 500 ETF) 매입 → 실질적으로 동일한지 여부는 다소 판단 여지 있음

🧠 요약

 

항목 내용
대상 손실 발생 주식 거래
기간 매도 전후 30일 이내 재매입
영향 손실 공제 불가, 새 주식 원가에 더해짐
목적 세금 회피 방지
회피 방법 31일 이상 기다리거나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은 자산 매입

 

반응형